(2) 읽 기/공정사회

'공정한 사회'의 저자

공만타 2011. 5. 1. 11:58

이명박 대통령이 5일 장·차관 워크숍에서 화두로 제시한 ‘공정(公正)한 사회’는 지난 7월 임명된

임태희 대통령실장의 작품으로 알려졌다.

‘공정한 사회론(論)’은 이 대통령이 임기 하반기의 브랜드로 삼을 국정 철학이다.

이미 8·15 경축사에서 주제어로 쓰였고, 개각 파동과 유명환 장관 딸의 외교부 특채 논란을

거치며 청와대의 당면한 ‘화두’로 떠올랐다.

임 실장은 이 대통령이 8·15 경축사 주제를 두고 고민할 무렵 ‘공정한 사회’를 제안했다.

이에 이 대통령과 백용호 정책실장, 정진석 정무수석 등 청와대 핵심참모들이 모두 공조하면서

구체화 작업이 진행됐다.

임 실장은 과거 한나라당 정책위의장 시절부터 ‘공정한 사회’를 공개적으로 언급해왔다.

특히 사회 양극화와 대기업·중소기업 관계에 주목했던 그는 공공연히 “경제적인 갑을(甲乙)

구조를 바꿔야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통령실장 취임 직후 ‘공정한 사회’를 주제로 청와대 직원들에게 강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한 여권 관계자는 “이념적으로 합리적·성찰적 우파 성향을 지닌 참모진들이 청와대를

새롭게 주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청와대는 8·15 경축사에서 ‘공정한 사회’ 화두를 제시한 뒤 이론적 보강을 위해 교수들에게 강연도

요청했다. 윤평중 한신대 교수는 지난달 27일 청와대 확대비서관회의에서 이에 관한 강연을 했다.

윤 교수는 평소 칼럼 등을 통해 ‘공정하고 투명한 시장’, ‘공정 경쟁’ 등을 강조한 인물이다.

특히 8·8 개각 국회 인사청문회와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 문제를 통해 사회지도자급의

도덕성 논란이 불거지면서, ‘공정한 사회’는 이명박 정부의 당면 화두로 떠올랐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공정한 사회론’이 사회 각 분야에 ‘힘’을 가진 세력에 대한 강도높은

사정(司正)을 예고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출처 : 조선일보 2010.09.06(월)

'(2) 읽 기 > 공정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세 불공정의 원인  (0) 2011.05.01
공평과세란?  (0) 2011.05.01
'공정사회' 와 '정의로운 사회'  (0) 2011.05.01
[스크랩] 공정한 사회  (0) 2011.05.01
'공정한 사회'와 이익 공유제  (0) 2011.05.01